본문 바로가기

Climate Change2

탄소 배출권의 종류와 시장의 구분 탄소 배출권의 종류(Carbon Credit, Offset)와 시장의 구분 ■ 개요 - 탄소 시장(Carbon market)은 기업과 투자자들로 하여금 탄소 배출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함 - 탄소 시장에 대한 접근은 1997년 교토 의정서 이후로 존재해 왔으나, 시장 및 배출권의 종류가 다양해짐 - 시장 메커니즘은 CO2 배출을 하나의 상품(Commodity)으로 변환하여, 가격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함 →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새로운 규제 및 정책들로 인해 탄소 배출권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 발견 가능 1. 탄소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합의 기반 ■ 교토 의정서 (Kyoto Protocol), 1997년 -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계획과 의무를 명기한 기후변화 협약(UNFCCC) 의정서.. 2022. 9. 24.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의 이해 (1/n) 탄소 배출권 거래제(Emission Trading System, ETS)의 이해 1. 논의 배경 ■ 기후 변화는 날로 심화되고 있고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야기 ■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 比 1.5˚C 이내 유지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 형성 ■ 국제사회 및 민간 차원의 2050 Net Zero(탄소중립*) 목표 선언이 지속 발표되는 추세 *탄소중립: 인간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가시켜 순 배출량을 '0'로 만드는 상태 2.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등장 ■ 탄소 가격제 (Carbon Pricing) 개념 - 탄소 가격제는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인센티브 제도 - 탄소세(Carbon Tax)는 Pri..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