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A21 코파 펀드(COPA fund) 개요 및 설립 사례 (feat. 국민연금) 1. 코파펀드(COPA fund)의 개요 코파펀드(Corporate Partnership PEF)는 국민연금이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과 협력하여 해외 투자와 인수합병(M&A)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한 사모투자펀드(PEF)입니다. 국민연금과 기업이 1대1 비율로 자금을 출자하여 펀드를 조성하며,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동시에 국민연금 가입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펀드는 2011년 도입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2. 특징출자 구조: 국민연금은 재무적 투자자(FI), 기업은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하며, 펀드 운용사는 투자 대상 발굴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수익 배분: (예) 국민연금은 국고채 5년물 수익률 수준까지 우선적으로 수익을 가져갑니다.. 2025. 1. 22. Solvency(지급능력): 정의, 재무 비율, 사례, Liquidity(유동성)과의 차이 Solvency(지급능력)는 조직의 재무 건전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로, 장기적인 부채 상환 능력과 지속 가능한 운영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기업이 Solvency를 유지하는 것은 재무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재정적 어려움을 피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본 글에서는 Solvency의 개념, 이를 평가하는 주요 재무 비율, 그리고 실제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적용 방식을 살펴보겠습니다. 1. Solvency란 무엇인가?Solvency는 기업이 장기적인 재무 의무를 이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장기적으로 운영을 지속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Solvency는 단기적인 부채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유동성(Liquidity)과는 달리, 자산, 부채, 자본의 관계를 분석하여 기업의 전반.. 2025. 1. 22. 상환전환우선주(RCPS)는 부채인가 자본인가? RCPS의 이해? 본 글은 상환전환우선주(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red Shares)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질문하고 답변하는 과정을 통해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목차]Q1.RCPS는 부채인가요?Q2. RCPS를 발행하는 기업들은 주로 어떤 이유로 선택하나요?Q2. RCPS를 투자하는 투자자들은 주로 어떤 유형인가요Q3. RCPS를 발행할 때 기업은 어떤 조건을 설정하나요? Q1. RCPS(전환상환우선주)는 부채인가요?상환전환우선주(RCPS,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red Shares)는 부채와 자본의 특성을 모두 가진 복합금융상품입니다. RCPS가 부채로 분류되는지, 자본으로 분류되는지는 발행 조건과 회계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RCPS의 주요 특징상환.. 2025. 1. 15. CB (Convertible Bond)와 Refixing 조항에 대한 이해, 예시 1. CB (Convertible Bond)란?CB, 즉 전환사채는 채권의 형태로 발행되지만, 일정 조건 하에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금융 상품입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채권의 안정성과 주식의 성장 잠재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매력적인 투자 수단입니다.2. Refixing 조항이란 무엇인가?Refixing 조항은 CB의 전환가액을 특정 조건에 따라 조정할 수 있는 조항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주가가 하락할 경우 투자자를 보호하고, 발행사가 전환권 행사를 촉진하여 자본을 조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장치입니다.3. Refixing의 주요 특징주가 하락 시 전환가액 조정: Refixing 조항이 포함된 CB는 발행 당시의 전환가액이 주가 하락 시 일정 비율로 조정됩니다. 이는 투자자에게 .. 2024. 5. 30. [재무 분석] 각종 회전율(Turnover)의 개념, 공식 재무 분석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turnover(회전율) 비율들은 기업의 자산 운용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여기에는 유형자산 회전율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은 기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자원을 관리하고 활용하여 매출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아래는 재무 분석 시 사용할 수 있는 주요 회전율 비율들입니다: 유형자산 회전율 (PP&E Turnover) : 유형자산(물리적 자산)을 사용하여 얼마나 많은 매출을 생성하는지 측정합니다. 유형자산 회전율=매출액 / 유형자산 평균 장부가액 총자산 회전율 (Total Asset Turnover) : 기업의 총자산을 사용하여 생성된 매출의 총액을 측정합니다. 총자산 회전율=매출액 / 총자산 평균 장부가액 재고자산 회전율 (Invent.. 2024. 3. 5. 1-3. 제조업 재무제표 분석 기초 (SK하이닉스 사례) Balance Sheet 분석 시 자산의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함 기업 활동은 유무형 자산 → 재고 → 채권 → 현금의 순환임 기업활동에 따라 유무형 자산이 돌아가야 재고가 생기고, 재고가 팔려야 채권이 생기고, 마지막에 현금이 들어옴 투하자본(Invested Capital) : 유무형 자산 + 운전자본 (재고 + 채권 + 현금)을 의미함 제조업은 대부분 유무형자산(설비/장치/투지)의 비중이 높으며, 이러한 자산이 사람의 심장 역할을 함 SK 하이닉스 사례를 통해 제조업 Balance Sheet 읽는 법을 간단히 살펴보고자 함 제조업 재무상태표 구성 SK하이닉스 사례 (2023.03.21 사업보고서) 자산 총계: 104조원 유무형자산: 64조원 (전체 자산의 62%) 유무형자산은 CapEx를 얼마나 .. 2024. 3.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