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een18

기후변화와 CCUS 기술의 필요성 본 콘텐츠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함 1. 기후 변화와 CO2 배출 ■ 인간의 산업활동에 의한 CO2 배출: 화석 연료 사용 - 인간의 화석 연료 사용은 산업 혁명 이후로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 탄소 집약적 화석연료의 사용은 인간에 의해 발생한 CO2의 약 80% 이상을 차지함 ■ 대기 중 CO2 농도 증가 가속화 - 1970년대 이후로 글로벌 온실가스(GHG, Green House Gas) 배출은 연평균 0.4Gt CO2 eq 규모로 증가 - 2000년 이후로 연평균 GHG 배출규모 1Gt-CO2eq 규모로 증가 추세 - 1750년대 이후 인간에 의해 배출된 CO2 중 40%는 현재 대기 중에 남.. 2022. 10. 10.
CCUS 프로젝트 현황 및 전망 1. CCUS 산업 현황 ■ CCUS 기술 발전 주도산업 - '20년 기준 약 60여 개의 CCUS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발전, Oil & Gas 산업의 비중이 높음 - 발전, Oil & Gas 산업은 적어도 2030년까지 CCUS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 산업별 현재 운영 중 또는 개발 중인 CCUS 프로젝트수: 발전 > Oil & Gas > 수소 > 중공업 > 화학 (Source: Kearney) ■ CCUS 시장의 발전 단계 - 통상 산업은 Early stage(산업 초기) - Industrialization(산업화기) - Mature Industry(성숙기)를 거쳐 발전 - CCUS 시장은 '05~'10년을 기점으로 현재 Inudstrialization(산업화기)의 발전단계에 도달.. 2022. 10. 8.
CCUS, CCU, CCS의 차이 및 방법론별 탄소 감축 기여 전망 1. CCUS, CCU, CCS의 차이 ①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 에너지 사용 또는 산업 공정 상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포집(Capture), 운송(Transport), 활용(Utilization), 저장(Storage)하는 기술의 통칭으로 CCU와 CCS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개념 - CCUS Value Chain 상, 배출된 CO2의 "포집" 및 "운송" 과정은 공통적으로 요구되나, 처리 방법에 있어 CO2를 활용할 것인지 저장할 것인지 구분됨 ※ EOR(Enhanced Oil Recovery, 원유 회수 증진)의 경우, CO2의 활용과 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사례로 CCU로 분류되기도 하고 CCS로 분류되기도 .. 2022. 10. 2.
CCUS 기술 개요 및 프로젝트 개발 동향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는 기후변화 대응을 필수적인 기술로 그 중요성이 대두됨 1. CCUS 개요 ■ CCUS의 정의 - CCUS는 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의 약자로 아래의 항목들을 포함 ① 에너지 사용(연료 연소 등) 및 산업으로부터 배출되는 탄소를 포집(Capture) ② Pipeline이나 선박 등으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운송(Transport) ③ 화학/생물/물리학적 방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가치 있는 제품으로 전환, 활용(Utilization) ④ 또는 지질학적 방법을 통해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지중 저장(Storage) 하는 기술 - 공기 중 직접 탄소 포집(Direct Air Capture, DAC) 후 저장.. 2022. 10. 1.
탄소 배출권의 종류와 시장의 구분 탄소 배출권의 종류(Carbon Credit, Offset)와 시장의 구분 ■ 개요 - 탄소 시장(Carbon market)은 기업과 투자자들로 하여금 탄소 배출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함 - 탄소 시장에 대한 접근은 1997년 교토 의정서 이후로 존재해 왔으나, 시장 및 배출권의 종류가 다양해짐 - 시장 메커니즘은 CO2 배출을 하나의 상품(Commodity)으로 변환하여, 가격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함 →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새로운 규제 및 정책들로 인해 탄소 배출권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 발견 가능 1. 탄소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합의 기반 ■ 교토 의정서 (Kyoto Protocol), 1997년 -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계획과 의무를 명기한 기후변화 협약(UNFCCC) 의정서.. 2022. 9. 24.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의 이해 (1/n) 탄소 배출권 거래제(Emission Trading System, ETS)의 이해 1. 논의 배경 ■ 기후 변화는 날로 심화되고 있고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야기 ■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 比 1.5˚C 이내 유지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 형성 ■ 국제사회 및 민간 차원의 2050 Net Zero(탄소중립*) 목표 선언이 지속 발표되는 추세 *탄소중립: 인간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가시켜 순 배출량을 '0'로 만드는 상태 2.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등장 ■ 탄소 가격제 (Carbon Pricing) 개념 - 탄소 가격제는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인센티브 제도 - 탄소세(Carbon Tax)는 Pri.. 2022.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