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FA Level 34

Active Equity Investing Strategies (액티브 주식 투자 전략) (2/2) Active Equity Investing Strategies 액티브 주식 투자 전략 1. Fundamental Active Investment Strategies (펀더멘털 액티브 투자 전략) (1) 투자 절차 ① Universe 정의: 전체 투자 대상 주식의 목록을 규명 ② Pre screen: Universe 내 조건에 맞는 주식들에 대한 선별 절차 ③ 산업/기업 분석 ④ 미래 실적 추정 ⑤ Valuation: 미래 실적을 현재 시점의 기업가치로 전환 ⑥ Portfolio 구축: 사전에 정의한 위험 특성(Risk Profile)을 고려하여 포트폴리오 구축 (2) Fundamental Investing의 한계 행동 편향(Behavioral Bias)의 존재: Overconfidence(자기확신), L.. 2022. 10. 20.
Active Equity Investing Strategies (액티브 주식 투자 전략) (1/2) Active Equity Investing Strategies 액티브 주식 투자 전략 1. Fundamental approach (펀더멘털 투자) vs Quantitative approach (퀀트 투자) (1) Fundamental approach - 투자자 또는 애널리스트의 재량 및 판단에 의해 투자 - Quantitative 투자에 비해 포트폴리오 내 주식 종목수가 적고, 각 주식 종목당 비중은 큼 - 주요 Risk: ① 주식의 내재가치를 잘못 추정하는 위험, ② 시장의 mispricing(내재가치와 시장가치의 괴리)이 지속되는 위험 - 투자자/애널리스트 의견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리밸런싱 필요 (2) Quantitative approach - Model과 Systematic Rule에 .. 2022. 10. 15.
Passive Equity Investing Strategies (패시브 주식 투자 전략) Passive Equity Investing 패시브 주식 투자 전략 1. Passive 주식 투자의 Benchmark ("BM") : Passive 주식 투자는 Benchmark를 설정하고, Benchmark와 동일한 수익/위험을 얻고자 하는 투자 방법 ■ Benchmark의 필수 조건 ① Rule-based: 종목 편입/편출, 비중 설정 및 리밸런싱 등의 기준 존재해야 함 ② Transparent: Rule이 투명하게 공개되어야 함 ③ Investable: 설정한 벤치마크의 Risk&Return 특징을 펀드 내에서 복제할 수 있어야 함 ■ Benchmark 설정 시 고려 사항 ① Market Exposure - 포트폴리오 내의 Market Segment 노출 비중 결정 - Broad/ Focused, .. 2022. 10. 14.
Overview of Equity Portfolio Management Overview of Equity Portfolio Management 주식 포트폴리오 관리 개요 1. 포트폴리오에서 주식의 역할 ① 자본 이익 (Capital Appreciattion) ② 배당 이익 (Dividend Income) ③ 분산 효과 (Diversification) - 포트폴리오 내 다른 자산군 과의 상관관계가 1.0이 아니라면 분산 효과가 존재함 - 위험 분산 효과가 일정하지 않음 (ex. 금융위기 상황에서는 자산간 상관관계가 높아지고, 자산군의 표준편차가 증가하여, 분산 효과 감소) ④ 인플레이션 헤지 (Inflation Hedge) - 물가 상승 시 기업이 부담하는 원가 상승(PPI)이 → 소비자에게 전가되며 (CPI) → Cash Flow가 증가하며 주가가 상승함 - 주가는 경기의 .. 2022.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