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e

코파 펀드(COPA fund) 개요 및 설립 사례 (feat. 국민연금)

by jojosh 2025. 1. 22.
반응형

1. 코파펀드(COPA fund)의 개요

 

코파펀드(Corporate Partnership PEF)는 국민연금이 국내 대기업 및 중견기업과 협력하여 해외 투자와 인수합병(M&A)을 지원하기 위해 조성한 사모투자펀드(PEF)입니다. 국민연금과 기업이 1대1 비율로 자금을 출자하여 펀드를 조성하며,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돕는 동시에 국민연금 가입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펀드는 2011년 도입되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2. 특징

  • 출자 구조: 국민연금은 재무적 투자자(FI), 기업은 전략적 투자자(SI)로 참여하며, 펀드 운용사는 투자 대상 발굴 및 관리를 담당합니다.
  • 수익 배분:
    • (예)  국민연금은 국고채 5년물 수익률 수준까지 우선적으로 수익을 가져갑니다.
    • (예) 내부수익률(IRR)이 8%를 초과하면 기업이 더 높은 비율로 수익을 배분받습니다.
  • 손실 책임: 손실 발생 시 기업이 우선적으로 책임을 지며, 투자 매물 가치 하락 시 기업의 부담이 큽니다.
  • 운용 방식: 특정 대기업과 협력하거나, 중소·중견기업에 초점을 맞춘 펀드도 운영됩니다.

 

3. 장점

  • 해외 진출 지원: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M&A를 촉진하여 국제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 안정적 수익 창출: 국민연금의 안정적인 수익 확보를 통해 가입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합니다.
  • 산업 발전 기여: 국내 자산운용업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투자 경험을 축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 위험 분산 효과: 국민연금과 기업이 공동으로 투자 리스크를 분담하여 위험을 줄입니다.

 

4. 단점

  • 활용 저조: 까다로운 조건(예: 높은 내부수익률 기준)과 손실 책임 구조로 인해 많은 기업들이 참여를 꺼립니다.
  • 성과 부족: 초기 도입 이후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 못한 사례가 많으며, 일부 펀드는 투자 없이 청산되기도 했습니다.
  • 기업 부담 가중: 우선 수익 배분 구조와 높은 금리가 기업에 재정적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 제한된 유연성: 특정 대기업 중심으로 설계된 구조는 중소·중견기업이나 다양한 산업에 대한 접근성을 제한했습니다.

 

5. 주요 사례

  • CJ 코파펀드:
    • CJ그룹은 5000억 원 규모의 코파펀드를 통해 중국 물류회사 CJ로킨, 베트남 제마뎁, 브라질 식품소재 기업 세멘테스 셀렉타 등에 투자했습니다.
    • CJ로킨 매각 시 약 60%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았습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6058

 

국민연금, CJ로킨 매각으로 체면치레…수익률도 60%로 '쏠쏠' - 연합인포맥스

국민연금·CJ 코파펀드, 첫 자금 회수 성공(서울=연합인포맥스) 진정호 기자 = CJ대한통운이 중국 자회사 CJ로킨을 성공적으로 매각하게 되면서 공동 투자자로 참여한 국민연금도 쏠쏠한 수익이

news.einfomax.co.kr

https://dealsite.co.kr/articles/78922/089060

 

CJ제일제당, 잘 키운 CJ셀렉타 매각 효과는 - 딜사이트

건전성 개선 및 재원 마련...웃돈 규모가 관건

dealsite.co.kr

 

  • 포스코 코파펀드:
    • 포스코는 캐나다 철광석 광산 및 브라질 희귀 금속 광산에 투자해 철강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국민연금에 배당 수익을 제공했습니다.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7010483961
 

[마켓인사이트] 원자재 가격 떨어져도 흑자 낼 광산만 골라 투자, 원금보장 투자모델 구축…'자

[마켓인사이트] 원자재 가격 떨어져도 흑자 낼 광산만 골라 투자, 원금보장 투자모델 구축…'자원투자 명가' 부상, 사모펀드의 경영 노하우 탐구 (12) 신흥강자 이큐파트너스 브라질 CBMM 광산투자

www.hankyung.com

 

  •  현대백화점 코파펀드:
  • 현대백화점그룹은 6000억 원 규모의 코파펀드를 통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섰으며, 유통 및 패션 사업에서 시너지를 창출했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308162200030

 

현대백화점그룹 6천억원 펀드 조성…해외시장 공략 본격화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현대백화점그룹이 국민연금과 함께 6천억원 규모의 코퍼레이트파트너십펀드(코파펀드)를 조성하고 해외시장 공략에 나...

www.yna.co.kr

 

 

6. 최근 결성 현황

  • 대우건설-IMM인베스트먼트 글로벌 (2022):
    • 총 4억 달러(각사 2억 달러) 규모로 조성된 펀드로, 베트남 물류(콜드체인) 및 ESG 인프라 관련 유망 기업에 공동 투자 진행 중입니다.
    • 대우건설은 베트남 내 물류사업에서 부지 개발, 시공 및 운영까지 전 밸류체인 역량을 확보하며 신사업 확장에 나섰습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05532

 

대우건설, IMM인베스트먼트와 4억달러 코파펀드 조성…해외투자 확장 - 연합인포맥스

*그림1*대우건설CI[대우건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인포맥스) 장순환 기자 = 대우건설은 28일 IMM인베스트먼트 글로벌과 함께 코퍼레이션 파트너십 펀드(코파펀드)를 조성한다고 밝혔

news.einfomax.co.kr

  1.  

7. 결론

코파펀드는 한국 경제의 글로벌화를 지원하고 국민연금 가입자의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해 설계된 혁신적인 펀드입니다. 초기에는 까다로운 조건과 제한된 유연성으로 인해 성과가 부족한 사례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친환경 기술, 배터리 등 미래 산업 분야에 초점을 맞춘 펀드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으로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앞으로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코파펀드가 한국 경제와 기업의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위해 더 유연하고 실효성 있는 투자 구조와 전략적 접근이 지속적으로 요구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