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워런트(Warrant)**는 일정 수의 주식을 미리 정해진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증권입니다. 이는 주식과 연계된 투자 상품으로, 특정 조건 하에서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컨버터블 노트(Convertible Note)**는 스타트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융 도구로, 투자자가 회사에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미래에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제공하는 단기 부채 형태의 투자 방식입니다. 이는 전환사채(Convertible Bond)와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발행 시점에 전환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Convertible Note와 Warrant의 결합
- Warrant Coverage:
- Convertible Note와 함께 발행되는 Warrant는 투자자에게 회사 주식을 일정 조건 하에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 보통 Warrant Coverage는 Convertible Note의 대출 원금(및 이자)에 대한 일정 비율로 설정됩니다. 예를 들어, 투자자가 $200,000를 투자하고 20%의 Warrant Coverage가 부여되었다면, 이는 $40,000 상당의 주식을 특정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 투자자 유인 효과:
- Warrant는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수익 가능성을 제공하므로, 초기 단계에서 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특히 회사가 아직 주식을 발행하지 않았거나 초기 자금 조달 단계에 있을 때 투자자를 더 끌어들이는 데 유용합니다.
- 발행 조건:
- Warrant는 일반적으로 Convertible Note가 주식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행사될 수 있으며, 행사 가격과 기간은 사전에 정해집니다.
- Warrant의 행사 기간은 보통 5~10년으로 설정되며, 투자자는 이 기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 복합 금융 구조:
- Convertible Note와 Warrant는 함께 발행되지만, 서로 독립적인 금융 상품으로 취급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각 상품의 가치 평가 및 회계 처리가 별도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Convertible Note에 Warrant를 함께 발행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추가적인 보상을 제공하여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는 전략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복잡한 법적·회계적 문제를 동반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설계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반응형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파 펀드(COPA fund) 개요 및 설립 사례 (feat. 국민연금) (0) | 2025.01.22 |
---|---|
Solvency(지급능력): 정의, 재무 비율, 사례, Liquidity(유동성)과의 차이 (0) | 2025.01.22 |
상환전환우선주(RCPS)는 부채인가 자본인가? RCPS의 이해? (0) | 2025.01.15 |
Chapter 7, Chapter 11 미국 기업 파산(Bankruptcy) 절차 비교 (0) | 2025.01.03 |
Negative Pledge Clause: 담보 설정의 제한에 관한 이해 (2) | 2024.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