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사는 전기기기 및 스마트 배선기구 분야에서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홈 및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글에서는 위너스의 청약 일정 및 사업 현황에 대해 소개합니다.
[1] 청약 일정
- 공모 청약일: 2025.02.13 ~ 2025.02.14
- 배정 공고일: 2025.02.18
- 주간사: 미래에셋증권
[2] 공모 가격
- 공모가 범위: 7,500원 ~ 8,500원
- 상장 후 예상 시가총액: 약 382억원 (추정)
[3] 사업 현황
(1) 기업 현황
당사는 전기기기 및 스마트 배선기구 분야에서 안정적인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완제품의 판매량은 40,681개로, 금액은 약 751억 원에 달합니다. 최근 3년간 스마트배선기구의 평균 단가는 18,464원이었으며, 이는 기술 경쟁력과 연구개발 투자에 기반한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반영합니다. 현재 57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와 연구개발을 통해 시장에서의 기술적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배선기구, 멀티탭, 스마트 배선/분전함 등을 제조하며, 건설 및 주택 시장의 성장에 따라 매출과 수익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고객 맞춤형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평균 가동률이 약 86%에 달하는 안정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 산업 현황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은 최근 금리 인하와 공실률 감소로 개선되고 있으며, 2025년 건설수주는 210.4조 원으로 전년 대비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부동산 PF 부실로 인한 미착공 위험과 특정 지역의 거래 쏠림 현상으로 공급 감소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동향은 배선기구 및 멀티탭 제품의 수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스마트홈 서비스 산업은 2019년 669억 달러에서 2023년 1,348억 달러로 증가하며, 2028년에는 2,31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10.67%에 달합니다. 이러한 성장은 Io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확대, 그리고 스마트홈 국제표준인 매터(Matter)의 도입으로 더욱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3) 기타
전기차 충전기 및 관련 인프라 시장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3년까지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스마트 배선기구 및 멀티콘센트와 같은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트렌드는 당사가 보유한 다양한 특허와 디자인을 통해 향후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는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 또한, 스마트홈 및 안전 관리 기술 산업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와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당사는 매출의 2.66%에서 4.31%를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와 기술적 특허 보유는 시장 지배력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당사는 현재의 시장 환경 속에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홈 및 전기차 충전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사업 상세
(1) 사업 개요
당사는 전기 배선기구 산업에 속하며, 스위치, 콘센트, 멀티콘센트 및 기타 통신기기를 제조 및 판매하는 주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스마트홈 시스템과 전기차 충전기 시장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스마트홈 및 전기차 수요에 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홈 기술은 IoT 기반의 지능형 서비스를 통해 주거 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당사는 이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제조 능력과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스마트 배선기구 및 전기차 충전 관련 제품군의 매출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차세대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며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 확장은 향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의 주요 제품군은 스위치, 콘센트, 멀티콘센트 및 기타 통신기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품은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여 전기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실내 인테리어에 적합한 디자인을 구현하여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IoT 적용 스위치 및 스마트 배선기구의 매출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과 에너지 하베스팅 무선스위치 등 차별화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충전 관련 제품군의 확대는 당사가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제품의 안전성, 디자인적 요소는 당사의 주요 경쟁 우위를 형성하고 있으며, 스마트홈 및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당사는 또한 다양한 전자기기 및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스마트폰 및 관련 액세서리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 제품군은 전체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25%에 달합니다. 당사의 제품은 고급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 경험을 극대화하며, 경쟁사 대비 우수한 배터리 수명과 빠른 처리 속도를 자랑합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로 제품의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이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당사는 전기 배선기구 및 스마트홈 시스템, 전기차 충전기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술적 차별화와 안전성, 디자인적 요소를 통해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향후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5] 재무 분석
(1) 실적 분석
구분 | 2024년 3분기 | 2023년 12월 | 2022년 12월 | 2020년 12월 |
매출액 | 197억 원 | 276억 원 | 268억 원 | 298억 원 |
영업이익 | 21억 원 | 346억 원 | 221억 원 | 431억 원 |
당기순이익 | 17억 원 | 302억 원 | 198억 원 | 347억 원 |
(2) 안정성 분석
표 1: 주요 재무상태표 값
구분 | 2024년 9월말 |
유동자산 | 184억 원 |
비유동자산 | 146억 원 |
총자산 | 330억 원 |
유동부채 | 61억 원 |
비유동부채 | 29억 원 |
총부채 | 89억 원 |
자본총계 | 241억 원 |
표 2: 비율 분석
비율 | 수치 |
부채비율 | 37.1% |
유동비율 | 303.5% |
당좌비율 | 195.5% |
- 유동자산이 184억 원으로 유동부채 61억 원에 비해 충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적인 지급능력은 양호합니다.
- 부채비율이 37.1%로, 자본에 비해 부채가 낮은 편이며, 이는 재무적 안정성을 나타냅니다.
- 유동비율과 당좌비율 모두 100%를 초과하여, 유동성 측면에서도 안정적인 상태임을 보여줍니다.
종합적으로, 회사는 최근 몇 년간 수익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나, 재무적 안정성은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것입니다.
Disclaimer: 본 보고서는 특정 주식에 대한 매수, 매도의 추천이 아닙니다.
'IPO 공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 한텍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기업, 산업 분석 요약 정리, 전망 (2월) (0) | 2025.02.03 |
---|---|
[IPO] 더즌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기업, 산업 분석, 전망 (1) | 2025.02.02 |
[공모주] 동국생명과학 청약 일정, 기업 및 산업 분석 (1) | 2025.01.30 |
[공모주] 오름테라퓨틱 청약 일정 및 기업, 산업 분석 (0) | 2025.01.30 |
[공모주] 동방메디컬 청약 일정, 기업 및 산업 분석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