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50

CCUS, CCU, CCS의 차이 및 방법론별 탄소 감축 기여 전망 1. CCUS, CCU, CCS의 차이 ①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Storage) - 에너지 사용 또는 산업 공정 상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를 포집(Capture), 운송(Transport), 활용(Utilization), 저장(Storage)하는 기술의 통칭으로 CCU와 CCS를 통칭하는 포괄적인 개념 - CCUS Value Chain 상, 배출된 CO2의 "포집" 및 "운송" 과정은 공통적으로 요구되나, 처리 방법에 있어 CO2를 활용할 것인지 저장할 것인지 구분됨 ※ EOR(Enhanced Oil Recovery, 원유 회수 증진)의 경우, CO2의 활용과 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사례로 CCU로 분류되기도 하고 CCS로 분류되기도 .. 2022. 10. 2.
탄소 배출권의 종류와 시장의 구분 탄소 배출권의 종류(Carbon Credit, Offset)와 시장의 구분 ■ 개요 - 탄소 시장(Carbon market)은 기업과 투자자들로 하여금 탄소 배출권에 투자할 수 있도록 함 - 탄소 시장에 대한 접근은 1997년 교토 의정서 이후로 존재해 왔으나, 시장 및 배출권의 종류가 다양해짐 - 시장 메커니즘은 CO2 배출을 하나의 상품(Commodity)으로 변환하여, 가격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함 → 기후 변화에 대한 인식 제고와, 새로운 규제 및 정책들로 인해 탄소 배출권 시장에서 새로운 투자 기회 발견 가능 1. 탄소 배출권 시장의 국제적 합의 기반 ■ 교토 의정서 (Kyoto Protocol), 1997년 -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계획과 의무를 명기한 기후변화 협약(UNFCCC) 의정서.. 2022. 9. 24.
탄소 배출권 거래제(ETS)의 이해 (1/n) 탄소 배출권 거래제(Emission Trading System, ETS)의 이해 1. 논의 배경 ■ 기후 변화는 날로 심화되고 있고 다양한 사회적·환경적 문제를 야기 ■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 比 1.5˚C 이내 유지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 형성 ■ 국제사회 및 민간 차원의 2050 Net Zero(탄소중립*) 목표 선언이 지속 발표되는 추세 *탄소중립: 인간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흡수량을 증가시켜 순 배출량을 '0'로 만드는 상태 2.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등장 ■ 탄소 가격제 (Carbon Pricing) 개념 - 탄소 가격제는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에 따라 탄소 배출 감축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인센티브 제도 - 탄소세(Carbon Tax)는 Pri.. 2022. 9. 21.
당신의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들에 대하여... (5/5) 그동안 우리는 행동 경제학(Behavioral Finance)의 등장 배경과 주요 가정들에 대해 살펴보았고, 행동 경제학의 관점에서 우리와 같은 개인 투자자들이 흔히 보이는 편향(bias)들 중 '이성'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감정'에 의해 발생하는 감정 편향(Emotional Bias), 그 중에서도, 행동 경제학의 근간이 되는 가정 중 하나인 Loss aversion Bias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제 나머지 감정 편향들에 대해 논하며, 우리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 경제학적 편향들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하고자 한다. 감정 편향 (Emotional Bias) (1) Loss Aversion Bias (손실 회피 편향) 기준점(Re.. 2022. 9. 19.
당신의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들에 대하여... (4/5) 행동 경제학의 관점에서 우리와 같은 개인 투자자들이 흔히 보이는 편향(bias)들은 크게 '이성'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과 우리의 '감정'에 의해 발생하는 감정 편향(Emotional Bias)으로 나뉜다. 지난 글에서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의 종류와 사례들을 다루었다. 당신의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들에 대하여... (3/n) 우리는 지난 두 개의 글을 통해, 우리가 충분히 합리적이지 않고, 일관되지 않으며, 위험을 선호하기도/회피하기도 하고, 세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모두 온전히 소화해내는 것 또한 당연히 불가 researcherjojosh.tistory.com 인지 편향의 경우 적절한 교육이나, 투자 목적을 문서로 명시하고 지키려고 노력하는 과정, .. 2022. 9. 19.
당신의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편향들에 대하여... (3/5) 우리는 지난 두 개의 글을 통해, 우리가 충분히 합리적이지 않고, 일관되지 않으며, 위험을 선호하기도/회피하기도 하고, 세상에 존재하는 정보를 모두 온전히 소화해내는 것 또한 당연히 불가능한, 그저 보통의 사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동 경제학 측면에서 우리와 같은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할 때 흔히 보이는 편향(bias)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행동 경제학에서 편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우리의 '이성'에 의해 발생하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이며, 두번째는 우리의 '감정'에 의해 발생하는 감정 편향(Emotional Bias)이다. 우리는 하나 이상의 편향을 동시에 보일 수 있으며, 각기 다른 편향이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기도 한다.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성공적인 투자.. 2022. 9. 17.